애자일 프로젝트에서 팀원들이 작업을 완료했지만, 제품 소유자가 기능이 기대한 대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불만을 제기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제품 소유자에게 기능이 완료되었으므로 변경 요청을 제출하도록 요청한다.
B. 팀과 제품 소유자가 함께 검토하여 요구사항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지원한다.
C. 팀에게 추가 개발을 지시하여 제품 소유자가 만족할 때까지 개선하도록 한다.
D.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다음 스프린트에서 개선 사항을 논의하도록 한다.
답 : B
📖 해설: 애자일에서는 이해관계자와 팀 간의 긴밀한 협업이 중요하다. 제품 소유자가 원하는 것이 정확히 무엇인지 확인하고, 팀이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애자일 팀이 지속적으로 같은 유형의 버그를 발생시키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품질 프로세스를 강화하고 자동화 테스트를 도입한다.
B. 버그 수정 시간을 줄이기 위해 품질 관리를 생략한다.
C. 버그 수정이 끝난 후, 팀이 원래 일정대로 작업하도록 한다.
D. 버그 수정이 발생하면 다음 스프린트로 일정을 연장한다.
답: A
📖 해설: 애자일에서는 지속적인 품질 향상이 중요하다. 자동화 테스트와 코드 리뷰 등을 활용하여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팀원들이 스스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프로젝트 관리자가 직접 의사 결정을 내리고 팀에게 지시한다.
B. 팀원들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멘토링과 피드백을 제공한다.
C. 의사 결정을 경영진에게 보고하고 해결책을 요청한다.
D. 팀원들에게 시간을 주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기다린다.
답: B
📖 해설: 애자일에서는 자율적인 팀이 중요하므로, 프로젝트 관리자는 팀이 독립적으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고객이 요구사항을 자주 변경하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변경 요청을 모두 거절하고 원래 계획을 유지한다.
B. 제품 소유자와 협력하여 백로그를 재정비하고 우선순위를 조정한다.
C. 고객이 요구사항을 변경할 수 없도록 계약서를 조정한다.
D. 팀원들에게 모든 변경 요청을 반영하도록 지시한다.
답: B
📖 해설: 애자일에서는 요구사항 변경을 수용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제품 소유자와 협력하여 백로그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이해관계자가 요구사항 변경을 요청하면서 일정을 단축해 달라고 한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A. 요구사항을 반영하지 않고 기존 일정대로 진행한다.
B. 제품 소유자와 협력하여 백로그를 조정하고 우선순위를 재조정한다.
C. 팀원들에게 추가 근무를 요청하여 일정을 단축한다.
D. 요구사항을 수용하고 일정을 연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고객에게 알린다.
답: B
📖 해설: 애자일에서는 요구사항 변경을 수용하되, 팀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백로그를 조정하고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것이 중요하다.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팀원이 지속적으로 회의에 늦거나 참석하지 않는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팀원과 직접 대화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한다.
B. 팀원의 불참을 문서화하고 관리자에게 보고한다.
C. 팀원을 회의에서 제외하고 다른 팀원들과만 진행한다.
D. 팀원에게 회의에 참석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답: A
📖 해설: 팀원이 회의에 늦거나 참석하지 않는 이유를 먼저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제품 소유자가 우선순위가 높은 기능을 계속 변경하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제품 소유자가 우선순위를 자주 변경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B. 제품 소유자와 협력하여 변경이 적절한지 검토하고 팀과 논의한다.
C. 팀에게 원래 계획대로 작업을 계속하도록 지시한다.
D. 변경 요청을 받아들이되 일정 연장이 필요함을 제품 소유자에게 알린다.
답 : B
📖 해설: 애자일에서는 요구사항 변경을 허용하지만, 팀의 일정과 작업량을 고려하여 제품 소유자와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팀이 예상보다 낮은 속도로 작업을 완료하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팀원들에게 추가 근무를 요청하여 속도를 높인다.
B. 스프린트 회고에서 속도가 낮은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한다.
C. 팀이 더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을 조정한다.
D.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일부 작업을 외주 업체에 위탁한다.
답: B
📖 해설: 애자일에서는 스프린트 회고를 통해 속도가 낮은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애자일 팀에서 특정 팀원이 계속해서 백로그의 낮은 우선순위 항목을 먼저 선택하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해당 팀원에게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을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B. 팀 전체와 협력하여 작업 우선순위를 다시 정하고 공유한다.
C. 해당 팀원이 원하는 대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둔다.
D. 팀원의 작업을 강제로 재배치하여 우선순위 높은 작업을 배정한다.
답: B
📖 해설: 애자일에서는 팀 전체가 작업 우선순위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팀원들과 협력하여 우선순위를 재정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고객이 제품에 대한 기대 수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고객에게 명확한 기대치를 설정하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논의한다.
B. 팀원들에게 추가 작업을 수행하도록 요청한다.
C. 고객이 요구하는 모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을 조정한다.
D. 고객이 기대치를 낮추도록 설득한다.
답: A
📖 해설: 고객과 명확한 기대치를 설정하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논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이다.
애자일 프로젝트에서 팀이 예상보다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 기능을 개발하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A. 기능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개발하도록 요청한다.
B. 팀이 기능을 완성할 때까지 기다린다.
C. 기능을 제외하고 더 쉬운 기능을 먼저 개발하도록 한다.
D. 일정 연장을 요청하여 기능 개발을 계속 진행한다.
답: A
📖 해설: 기능을 작은 단위로 나누면 작업을 더 쉽게 관리하고 점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P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P 하이브리드 문제_1 (0) | 2025.03.09 |
---|---|
PMP Agile 관련 문제_4 (0) | 2025.03.09 |
PMP Agile 관련 문제_2 (1) | 2025.03.09 |
PMP Agile 관련 문제_1 (0) | 2025.03.09 |
PMP Agile 기본 개념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