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보면 다음 구절이 나온다. “비극의 구성요소는 플롯, 성격, 대사, 사상, 시각적 요소, 노래인데, 그 중 시각적 요소와 노래는 서사시에 없다.” 의 예)
소나기(황순원)
![]() |
플롯: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소년과 소녀의 순수한 사랑을 담아낸 소설로, 소년과 소녀가 우연히 갑작스러운 소나기를 피해 움막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서로 가까워지게 됩니다.
이후 소년은 만남과 소녀의 죽음이라는 이별의 비극적 구조를 따르고 있습니다.
![]() |
성격: 소년은 시골에서 자라 소극적이며, 수줍을 많습니다. 소녀는 윤씨네 증손녀로 병약하지만 적극적인 성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대사: 소년은 아버지에게 소녀의 집에 이왕이면 큰 수탉을 갖다 주라고 말합니다. 이는 소년이 소녀에게 좋은 것을 주고 싶어 하는 애정이 들어나는 대사이며, 소녀 역시 자신이 죽으면 입던 옷을 그대로 입혀서 묻어달라고 합니다. 이는 소년과의 추억을 소중히 간직하려는 마음을 드러냅니다.
사상: 1952년도에 발표된 작품으로 자유 연애 사상을 기반으로 순수한 사랑과 생명 존중 사상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시각적 요소: 소나기가 내리고 움막 아래의 소년과 소녀의 장면은 시각적으로 강렬한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더불어, 비의 급박함과 움막 아래에서의 안식은 긴박감과 평화가 교차하는 대조를 보여줍니다.
![]() |
노래: 드라마 대부분의 배경 음악이 서정적인 피아노 멜로디를 포함하여 소년과 소녀의 순수한 첫사랑에 대한 소설의 분위기를 잘 살리고 있습니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보면 다음 구절이 나온다. “ '정화'로 번역한 카타르시스는 원래 종교적으로 부정한 것을 제의를 통해 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 연민과 공포의 감정을 정화한다는 의미인지, 아니면 그러한 감정을 배설한다는 의미인지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다..”
타이타닉(영화,1997)
사회적 계층을 넘어선 사랑을 통한 카타르시스: 주인공 잭은 가난한 계층으로 우연히 3등석 티켓을 얻게 되어 타이타닉호에 탑승하게 되고 상류층 로즈와 사랑에 빠집니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사회적 장벽을 넘어선 사랑에 대한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됩니다.
![]() |
비극적 사건을 통한 카타르시스: 타이타닉호의 침몰을 통해 작품은 비극적 결말을 맞이하여 관객에게 슬픔과 동정의 혼합된 감정을 일으키고 경험하게 합니다.
![]() |
아리스토텔레스, 설득의 세 가지 방법: 버네이스가 주장하고 괴벨스가 따라 한 새로운 선전은 사실 말처럼 새로운 것은 아니었다. 그 개념은 2,300여 년 전, 알렉산더 대왕의 스승이자 플라톤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미 주장한 내용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수사학]에서 사람을 설득하는 방법을 세 가지로 정의했다. |
# 광고 사례
ㅇ 로고스를 사용하는 제품 광고 사례
LG 코드제로 A9S 청소기 광고: 흡착 먼지를 제거 할 수 있는 방법에 기반하여 자사 청소기의 뛰어난 기능을 홍보하는 로고스 중심적 광고를 보여줍니다.
![]() |
ㅇ 파소스를 사용하는 감성 광고 사례
LG ThinQ, House of ThinQ “Welcome Home” 광고: 퇴근 후 여성의 집안에서의 일상이 해당 제품군을 통해 행복해질 수 있음을 여성과 동물을 등장시켜 심리에 기반한 파토스적 광고를 보여줍니다.
![]() |
1.1 플롯 (plot)의 3가지 요소 (매력 포인트)
플롯의 3가지 매력포인트? 비극에서 가장 매혹시키는 부분은 (1) 하마르티아 (2) 급전 (peripeteia: 페리페테이아, 전환, 반전, 뒤바뀜)과, (3) 발견 (anagnorisis: 아나그노리시스, discovery), (4) 고통 이다.
(1) 하마르티아 (hamartia) 는 그리스어로 “죄/과오”, “과녁을 빗나감”, “오판” 이라는 뜻을 포함하는 비극적 결함을 지칭하는데, 행동적 결함 또는 주인공의 성격을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비극적 결함을 “판단의 잘못” 에 있다고 해석한 반면에, 세익스피어는 “햄릿의 우유부단함”, “오셀로의 남을 쉽게 믿는 것과 과도한 단순성” 처럼 판단 착오 뿐만 아니라 성격적인 결함으로 확대 했다. 즉 고통의 원인이 주인공의 잘못된 행동이라기 보다는 주인공의 성격적 결함, 예를 들어, 집착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이다. 세익스피어의 경우에, “성격이 곧 운명”.
(2) 급전 (peripeteia): 급전이란 사태가 반대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변화는 개연적 또는 필연적 인과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3) 발견 (anagnorisis): 발견이란 무지의 상태에서 지의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등장 인물들이 행운에의 숙명을 지녔느냐 불행에의 숙명을 지녔느냐에 따라 우호관계로 들어가기도 하고, 적대관계로 들어가기도 한다. 이러한 발견은 <오이디푸스>에서와 같이, 급전을 동반할 때, 연민 (선인이 부당하게 불행을 당하는 것을 볼 때 환기)이나 공포 (우리 자신과 유사한 자가 불행을 당하는 것을 볼 때 환기)의 감정을 불러일으키게 되면서 가장 훌륭하게 된다. <오이디푸스>에서 익숙하게 알고 있던 아버지에 대한 존재가 살인 피해자로 바뀌면서 운명은 바뀌게 된다.
(4) 고통 (pathos): 고통이란 무대 위에서의 죽음, 고통, 부상 등과 같이 파괴 또는 고통을 초래하는 행동을 말한다. 또한 관객에게 연민, 동정, 슬픔의 정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일컫는다.
# 하마르티아, 급전, 발견, 고통의 사례
먼 훗날 우리(영화,2017)
![]() |
하마르티아: 여자 주인공 샤오샤오는 베이징에서 살고 싶은 욕구와 안정적인 삶을 위해 여러 남자를 만나지만 이별로 끝이 납니다. 샤오샤오가 여러 이별을 겪는 동안 곁을 묵묵히 지켜준 젠칭과 결국 사랑에 빠지고 열악한 환경에서도 서로를 의지하며 시간을 보냅니다.
급전: 샤오샤오는 열악한 환경에서 점점 지쳐가고 결국 젠칭과 이별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젠칭에게 동기 부여가 되어 게임 개발에 성공하게 됩니다.
발견: 10년 뒤, 다시 우연히 재회하게 되고 이 둘이 헤어지지 않았다면 상황이 달라졌을지 대화합니다. 대화를 통해 결국은 이별을 하게 되었을 거라고 대답하며, 스스로를 되돌아 보게 합니다.
고통: 샤오샤오와 젠칭이 서로를 사랑하면서도 여러 외부적, 내부적 요인으로 인해 헤어지고, 이별 후 각자 겪는 외로움과 슬픔은 관객들에게 감정적 공감을 줍니다.
![]() |
# 광고 사례
말없는 112신고 ‘똑똑’ 캠페인(제일기획,2023)
가해자가 있는 상황에서 피해자가 음성으로 긴급 전화를 할 수 없는 시나리오 제시합니다.
하마르티아: 위험으로 인해 피해자가 소리내어 말할 수 없는 것이 기존 긴급 응답 시스템의 중대한 결함을 강조 하였습니다.
![]() |
급전: 이 캠페인은 피해자가 전화기에서 '똑똑' 소리를 내어 조용히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여 이 하마르티아 해결법을 알려줍니다.
![]() |
발견: 이 방법을 통해 경찰은 위기 신호를 인지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
![]() |
고통: 피해자가 겪을 수 있는 잠재적 고통을 보여주고, 새로운 방법이 이를 어떻게 완화할 수 있는지 강한 감정적 호소를 합니다.
1.1 편집 (editing)
What is continuity and non-continuity editing? The purpose of continuity editing is to create the illusion of smooth continuous action and helps to keep the audiences' attention to the story. The viewer will not notice the transition between shots. Continuity editing - Continuity editing is when the material edited is kept in sequence. This is when scenes are continuously edited throughout with no breaks in time. Using a constant sequence of quick cuts is a good way of using continuity as there will be a well paced sequence that can build the audience up for the next scene. Non-continuity editing is when shots are mismatched to disrupt the impression of time and space. Non continuity editing - Non continuity editing is when time is disrupted in the sequence. If a shot were of someone reaching for a cup and grabbing it and then it cut to a different shot but the action was repeated this would be an example of non continuity editing as the time has been repeated, resulting in a break of the continuous sequence. Soviet Montage Theory (Eitenstein): Montage theory, in its rudimentary form, asserts that a series of connected images allows for complex ideas to be extracted from a sequence and, when strung together, constitute the entirety of a film's ideological and intellectual power. In other words, the editing of shots rather than the content of the shot alone constitutes the force of a film. |
# 영화에서의 Continuity Editing, Non-Continuity Editing, Soviet Montage Editing 사례
먼훗날 우리(영화,2018)
Continuity Editing: 고향 가는 기차를 타는 모습을 시간의 흐름대로 자연스럽게 보여줍니다.
![]() |
Non-Continuity Editing: 도입부에서 춘절 이동 주인공의 만남을 회상 하는 장면을 과거와 현재로 보여줌으로써 시간과 공간의 깨뜨리는 편집 기법을 보여줍니다.
![]() |
Soviet Montage: 샤오샤오가 젠칭의 아버지 편지를 읽는 장면에서 편지 내용의 감정선에 따라 아버지 모습 그리고 현재 아들의 모습을 전환하여 보여줌으로써 과거/현재/공간을 초월하여 편지 내용의 감정을 전달하기 위한 soviet montage 편집을 기법을 사용합니다.
![]() |
# 세계적인 광고 대행사 광고 사례
Unsung Hero_thaillife(Ogilyvy & Mather,2014)
대상: 전세계 사람
사용 소구: 감성적 어필
내용 : 직장인으로 보이는 주인공의 일상에서의 선행을 보여주며, 주변에서는 그래도 변하는 것이 없다고 고개를 젖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작은 선행을 통해 구걸하던 아이가 학교를 가고, 말라버린 화문이 꽃이 피는 변화를 보여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aWA2GbcnJU
![]() |